전미도서상 수상작이자 퓰리처상 파이널리스트에 오른 한낮의 우울의 작가 앤드루 솔로몬이 기념비적인 새 책으로 돌아왔다. 집필에 10년이 걸린 이 책은 가족에 대한 이야기이다. 부모와 다른 아이들은 전미?비평가협회상을 수상했으며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에 선정되었고 수많은 언론으로부터 ‘혁명적’인 책으로 찬사를 받았다.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에릭 캔들은 이 책을 '다양한 정체성에 따른 삶 또한 인간의 권리'임을 선언한 '21세기의 심리학적 권리장전'으로 상찬한 바 있다. 이 책에서 앤드루 솔로몬은 예외적인 자녀를 키우면서 남다른 깨달음을 얻은 부모들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300가구가 넘는 가족들을 상대로 4만 페이지가 넘는 분량의 인터뷰를 진행하면서 솔로몬은 극단적인 도전에 직면한 보통 사람들에게서 감동적인 힘을 발견한다. 그는 예외적인 정체성을 가진 자녀게이, 청각 장애인, 소인, 다운증후군, 자폐증, 정신분열증, 신동, 강간으로 잉태된 아이, 범죄자가 된 아이, 트랜스젠더 등를 둔 가족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우리들 대다수는 이러한 특징들을 마주치는 순간 ‘장애’ 혹은 ‘비정상’이라는 단어를 바로 떠올릴 것이다. 그러나 저자는 이러한 이분법적 사고에 의문을 제기하며 흔히 ‘비정상’으로 치부되는 특징들이 하나의 ‘정체성’으로 분류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강력한 서사와 실증을 통해 이 책은 우리가 우리와 ‘다른’ 사람들을 대하는 관점을 뿌리로부터 송두리째 전복시킨다.
Andrew Solomon writes about politics, culture, and health. He lives in New York and London. He has written for many publications--such as the New York Times, The New Yorker and Artforum--on topics including depression, Soviet artists, the cultural rebirth of Afghanistan, Libyan politics, and deaf culture. He is also a Contributing Writer for Travel and Leisure. In 2008, he was awarded the Humanitarian Award of the Society of Biological Psychiatry for his contributions to the field of mental health. He has a staff appointment as a Lecturer in Psychiatry at Cornell Medical School (Weill-Cornell Medical College).
作者花十年時間,深入訪問咗三百個「有其父不有其子」嘅家庭。中譯版分兩冊,上冊包括嘅「不有其子」有聾人、侏儒、唐氏綜合症、自閉症、思覺失調。喺每個界別,作者都採訪到該群體不同面貌,深刻獨到咁反思 illness vs identity、vertical identity vs horizontal identity。
關於扶養小眾嘅神作。九年前出版,幸得朋友推介前我冇聽過。好睇到想大嗌,咁大件事冇人講?!
學朋友話齋,睇哩本書係被震攝嘅,跟埋佢抄段正嘢先: // My mother didn’t want me to be gay because she thought it wouldn’t be the happiest course for me, but equally, she didn’t like the image of herself as the mother of a gay son. The problem wasn’t that she wanted to control my life — although she did, like most parents, genuinely believe that her way of being happy was the best way of being happy. The problem was that she wanted to control her life, and it was her life as the mother of a homosexual that she wished to alter. Unfortunately, there was no way for her to fix her problem without involving me. //